1억원짜리 전세집구하기 비밀 대 공개 전세임대주택 지원신청 방법, 2021년 최신판 전세 임대주택 시세보다 저렴하게 전세 마련할 수 있는 기회!
2월1일부터 신청할 수 있으니 관심갖고 신혼,청년,다자녀,일반가구 위한 전세임대주택 신청하세요.
《지역별 지원한도액 및 임대료 부담》
구분 | 지원한도액 | 입주자부담분 | |||
수도권 | 광역시 | 기타지역 | 보증금 | 월임대료(기금지원금이자) | |
신혼1 | 13,500만원 | 10,000만원 | 8,500만원 | 지원금의5% | -전세보증금지원금에대한연이율적용(연1~2%) -4천만원이하 연1% -4천만원~6천만원 연1.5% -6천만원초과 연2% |
신혼2 | 24,000만원 | 16,000만원 | 13,000만원 | 지원금의20% | |
청년 | 12,000만원 | 9,500만원 | 8,500만원 | 100~200만원 | |
다자녀 | 13,500만원 | 10,000만원 | 8,500만원 | 지원금의2% | |
일반 . 고령자 | 11,000만원 | 8,000만원 | 6,000만원 | 지원금의2~5% |
다자녀 유형 3자녀 이상부터 2자녀 초과한 자녀수에 따라 2천만원씩 한도 상향
고령자유형-수도권 2,000만원,광역시 1,000만원상향
신혼.다자녀유형-수도권1,500만원,광역시 500만원상향지원
정부는 집이 없는 분들을 위해 안정적으로 주거생활 할 수 있도록 도움되는 여러공공임대주택을 지원해요.
공공임대주택종류
120% | 장기전세주택 |
100% | 행복주택 |
70% | 국민임대 |
영구임대 | 기존주택 매입임대 |
기존주택 전세임대 |
대상에 따라 소득기준이 다를 수 있음 |
영구임대아파트 신청하였으나 경쟁률이 너무 높은 관계로 뜻대로 되지 않았나요.
그럼 매입 임대주택에 노크해보면 어떨까요?
관리 하자보수가 잘 안되는 경우가 있어 걱정되는 문제 때문에 여러 임대주택 유형중 만족도가 제일 낮아서 영구 매입임대주택에 살기가 부담스럽다면 전세임대주택은 어떠세요?
전세임대주택은 내가 살고 싶은 집 전세보증금을 LH나 SH와 같은 공사에서 최대 98%까지 지원해주는 제도로 집주인과 전세계약도 공사에서 하고 중개수수료 또한 공사에서 부담해주는 등 전세임대주택은 내가 살고 싶은 집을 내가 고를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어요.
집 규모를 85㎡(25평) 1인가구는 60㎡(18평)이하로 제한하고 있긴 하지만 그래도 내가 그 기준 안에서 집을 고를 수 있다는 것은 정말 좋은기회가 아닐까 싶네요 .
그렇다면 단독,다가구,연립주택,아파트,오피스텔 다 해당되나요?
단독, 다가구, 연립주택, 아파트, 오피스텔 다 해당되고 보증금의 95%를 지원해 주는 것이니 공사에서 거의 다 내주는 거나 마찬가지라 할 수 있어요. 지원금액에 1~2%가량 이자를 월 임대료로 납입하여 입주자 분들의 부담이 아예 없는 건 아니지만 그래도 이만큼 지원받으면 시세보다 훨씬 저렴하게 전세를 얻을 수 있는 것 아닐까요. 수급자인 경우에는 전세지원금을 2%로 낮출수도 있고, 0.2% 우대해주어 임대료 부담이 다른 분들보다 더 낮다고 볼 수 있어요.
공사에서 도배나 장판 교체 지원해 주기도 하는데 보통 전세로 들어가면 임차인이 직접 도배나 장판을 해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잖아요. 그런데 도배,장판까지 지원받을 수 있으니까 더욱 좋은 것 같아요. 물론 입주대상이 누구인지 입주자가 사는 지역이 어디인지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지만.
유형 | 대상(1순위) | 조건 | 지원한도 | 입주자부담보증금 | ||
수도권 | 광역시 | 기타 | ||||
일반고령자 | 생계의료급여수급자 보호대상한부모가족 차상위계층고령자등 |
소득:월평균소득의50%이하 재산:2억이하 자동차2468만원이하 |
1억1000만 | 8000만 | 6000만 | 지원금의2~5% |
다자녀 | 수급자및차상위계층 | 2자녀이상 | 1억3500만 | 1억 | 8500만 | 지원금의2% |
청년 | 수급자차상위계층 보호대상한부모가족자녀 |
무주택대학생.졸업후2년이내취준생.만19세~39세 | 1억2000만 | 9500만 | 8500만 | 100~200만원 |
신혼부부1 | 혼인7년이내(예비)신혼부부나한부모가족중유자녀 | 70%이하 맞벌이90%이하 |
1억3500만 | 1억 | 8500만 | 지원금의5% |
신혼부부2 | 100%이하 맞벌이120%이하 |
2억4000만 | 1억6000만 | 1억3000만 | 지원금의20% |
입주자부담보증금 : 1억1000만원×5%=550만원
공사부담보증금 : 1억1000만원-550만원=1억450만원
입주자부담이자: (1억450만원×2%)÷12개월=17.4만원
입주자 부담보증금 : 1억1000만원×2%=220만원
공사부담보증금 : 1억1000만원-220만원=1억780만원
입주자부담이자: (1억780만원×2%)÷12개월=17.9만원
우대금리적용
① 미성년자녀 : 1자녀 0.2%P
2자녀 0.3%P
3자녀이상 0.5%P
② 생계.의료급여수급자 : 0.2%P (단,최저금리는 1.0%)
전세보증금에 대한 연이율 적용
연1.0% : 4000만원이하
연1.5% : 4000~6000만원이하
연2.0% : 6000만원초과
(수급자) 생계.의료.주거.교육수급자증명서
(차상위계층)
차상위계층확인서,복지대상급여(변경)신청결과통보서,차상위본인부담경감대상자증명서,자활급여대상자증명서(자활근로자확인서),장애수당대상자확인서,장애아동수당대상자확인서,우선돌봄차상위확인서
2020년도시근로자가구당월평균소득 | ||||
가구원수 | 1인가구 | 2인가구 | 3인가구 | 4인가구 |
150% | 3,967,721 | 6,569,714 | 8,440,346 | 9,339,513 |
120% | 3,174,176 | 5,255,771 | 6,752,276 | 7,471,610 |
100% | 2,645,147 | 4,379,809 | 5,626,897 | 6,226,342 |
70% | 1,851,603 | 3,065,866 | 3,938,828 | 4,358,439 |
50% | 1,322,574 | 2,189,905 | 2,813,449 | 3,113,171 |
* 가구원수=세대구성원전원(임신중인경우태아포함)
* 월평균소득액 : 세전금액
총자산 2억원이하
자동차가액 2,468만원이하
전세임대주택 신청하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되나요?
LH청약센터 홈페이지에 가서 신청하시면 되어요.(LH 다자녀, 청년,신혼유형)
컴퓨터를 잘 할 줄 모른다면 주민센터에 직접 방문하여 신청해 보세요. (LH일반 고령자 유형 및 지방공사 공급분)
대상에 선정이 되었으면 그다음에는 살고 싶은 전세집을 찾아보세요.
살고 싶은 전세집 찾았으면 공사에서 그 집에 부채가 어느정도인지 집주인이 입주자 가족은 아닌지 등을 보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으면 공사에서 집주인과 계약을 해요.
계약금은 입주자가 내는데 만약 전세금 1억 지원받게 되었으면 이 중 최소 2% 그러니까 최소 200만원은 개인이 부담해야 해요. 나머지 9800만원은 공사에서 지원해 주는데 이것의 연이율이 2%니까 매달 16만3000원정도를 공사에 내면 된다고 보면 될거예요.
입주자 입장에서는 월세 200에 16만3000원을 지불하고 사는것과 똑같으니 이정도면 시세에 비해 굉장히 저렴한 편이 아닐까 싶어요. 이런 방법으로 입주자는 2년단위로 최장 20년까지 지원받을 수 있어요.
전세임대주택 -집주인과 전세집계약-공사와 임차인과 계약
전세임대주택 세부 일정
공공주택사업자 | 공고문 게재 | 게시(예정)일 | 안내 대표번호 |
한국토지주택공사 | 한국토지주택공사 청약센터 | 1월21일 | 1600-1004 |
서울주택도시공사 | 서울주택도시공사 누리집 | 3월 중 | 1600-3456 |
경기주택도시공사 | 경기주택도시공사 누리집 | 2월5일 | 1588-0466 |
인천도시공사 | 인천도시공사 누리집 | 2월5일 | 1522-0072 |
부산도시공사 | 부산도시공사 누리집 | 1월20일 | 051-810-1305 |
대구도시공사 | 대구도시공사 누리집 | 1월 말 | 053-350-0300 |
많은 도움되길 바라며 좋은소식도 함께 하시길 바랍니다.
'경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부지원금 혜택!! (0) | 2021.12.28 |
---|---|
부모주택자녀에게줄때주의할점5가지 절세꿀팁? (0) | 2021.04.14 |
제대로 가입하는 종신보험 노하우!! (0) | 2021.01.11 |
전입지원금 몰라서 못받는국가지원금!! (0) | 2021.01.07 |
각 지자체 별 출산장려금 (0) | 2021.01.05 |